병원뉴스
본문
29세 환자, 심혈관중재술로 새 생명 찾아(20~30대 동맥경화증 환자 급증)
- · 작성 : 관리자
- · 작성일 2025-02-26 15:23
A씨는 내원 후 응급의료센터에서 진료대기 중 심실세동(심정지)이 발생했고. 의료진은 즉시 제세동(Defibrillation)을 수차례 시행했지만, 반복적인 심실세동 발생으로 심장
수축력이 거의 없어 인공심폐기(ECMO)를 부착했습니다.
그 직후 심장센터 김태진 과장은 지체 없이 관상동맥조영술을 실시했고 심혈관의 완전 폐색을 진단한 후, 심혈관중재술(PCI)을 시행했습니다. 이후 A씨는 심혈관계집중치료실에서
집중 치료를 받고 2월 초 건강하게 퇴원했습니다.
20~30대 젊은 층 동맥경화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.
동맥경화증(Atherosclerosis)은 동맥 벽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 물질이 쌓이면서 혈관이 좁아지고 탄력을 잃는 질환입니다. 이로 인해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심근경색, 뇌졸중 등 치명적인 심뇌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고령층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, 최근 젊은 층에서도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
이는 동맥경화증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심장질환 환자에게서도 30대 이하 젊은 층의 증가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심장질환 진료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심장질환 환자는 총 183만3천320명으로 2018년 152만9천537명보다 19.9% 늘었습니다. 이 가운데 2022년 10~30대 심장질환 환자는 9만1천826명으로 2018년(7만4천835명)에 비해 22.7% 증가했습니다.
잘못된 생활습관과 서구화된 식습관이 주요 원인
이처럼 젊은 층에서의 동맥경화증이 증가한 이유는 흡연, 서구화된 식습관, 운동 부족, 수면 부족, 비만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. 더욱이 패스트푸드 섭취 증가와 고열량 식단이 동맥경화 발병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.
예방을 위한 조기 건강관리 중요
따라서 전문가들은 동맥경화증을 예방하기 위해 건강한 식습관 유지, 정기적인 운동, 금연 및 절주, 스트레스 관리, 정기 건강검진 등을 실천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.
심장센터 정항재 센터장은 “젊은 층의 동맥경화증 환자가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”라며 “20~30대 환자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어 예방에 더욱 중점을 둬야 한다”라고 강조했습니다.
-
심장센터 김태진 과장이 심혈관조영술하는 모습 | 1.8M | 41 Download(s)